
-
리오단
- 업종
- 비타민 유통업체
- 도입시기
- 2017년
- 운영방법
- 격주로 주4일 출근
- 도입효과
- 매출 상승
-
밀리의 서재
- 업종
- 독서플랫폼
- 도입시기
- 2021년 5~6월 시범 운영 중
- 운영방법
- 매주 수요일 휴무
-
우아한형제들
- 업종
- 배달의 민족’ 운영
- 도입시기
- 2015년 37.5시간 근무제 도입, 2017년 35시간 근무제 도입
- 운영방법
- 월요일 오전 휴무 (오후 1시 출근)
- 도입효과
- 흑자 전환, 영업이익 증가, 실적 개선(사용자수, 주문량 증가), 직원 만족도
-
에네스티
- 업종
- 화장품 제조/판매
- 도입시기
- 2013년 전사 도입 (2010년 일부 도입, 2011년 80%로 확장)
- 운영방법
- 주4일(임금동결)과 주5일(임금인상) 중 선택
하루 9시간, 주36시간 근무 + 남은 4시간은 자기계발에 사용
- 도입효과
- 매출증가, 이직률 감소, 업무 집중도 향상
-
에듀윌
- 업종
- 교육
- 도입시기
- 2020년 전사 도입 (19년 1월 기획, 6월 시범 도입)
- 운영방법
- 주 5일중 선택한 4일 근무, 급여감축 無
하루 8시간, 주 32시간 근로
4~4시 30분은 회사 휴식시간으로 실 근로시간은 하루 7시간 30분
- 도입효과
- 매출증가, 추가 인원 채용
-
엔돌핀커넥트
- 업종
- 게임
- 도입시기
- 2021년 기업 설립부터 도입
- 운영방법
- 3단계 점진적 정착(현재 1단계)
1단계: 화~금 근무(주 36시간)2단계: 화~금 근무(주 32시간)3단계: 자율적 주4일제 (주 32시간, 매주 휴무일 자율 선택)
- 도입효과
- 입사 지원자 증가창의성 긍정 효과임직원 만족도 및 업무 몰입도 증가
-
위드이노베이션
- 업종
- ‘여기어때’ 운영
- 도입시기
- 2017년 35시간 근무제 도입
- 운영방법
- 월요일 오전 휴무 (오후 1시 출근)
화~금 오전 9시 출근, 오후 6시 퇴근 (점심시간 90분)
- 도입효과
- 매출 증대, 실적 개선(사용자수 증가), 회사지원율 증가, 업무집중도 상승
-
카카오 게임즈
- 업종
- 게임
- 도입시기
- 2021년 4월 격주로 확대 (2018년 7월부터 월 1회 주4일 시행)
- 운영방법
- 격주로 금요일 휴무
매주 월요일 30분 지연 출근 + 금요일 30분 조기 퇴근
- 도입효과
- 업무 효율 상승, 임직원 만족도
-
코아드
- 업종
- 자동문 토탈솔루션 기업
- 도입시기
- 2021년 월 2회로 격주로 4일제 확대
(2014년 기업 설립부터 시범적으로 시행)
- 운영방법
- 매달 첫 번째 금요일 휴무 (부부의 날)
월 1회 자율 휴무일 선택으로 격주 4일제 근무(월 또는 금요일 권장)급여삭감 無
- 도입효과
- 워라밸 보장, 업무몰입도·업무집중도·효율성 상승,
직원 만족도 극대화
-
SK텔레콤
- 업종
- 이동통신 서비스
- 도입시기
- 2021년 월 1회 주4일
- 운영방법
- 매달 세 번째 금요일 휴무 (해피 프라이데이)
-
까페24
- 업종
- 전자상거래 플랫폼
- 도입시기
- 2021년 5월 격주 휴무 도입 (2006년부터 월 1회 전사 ‘레저휴가’ 운영)
- 운영방법
- 두 번째 네 번째 금요일 휴무 (Off Day)
첫 번째 세 번째 금요일은 재택근무
-
크리에이티브마스
- 업종
- 광고회사
- 도입시기
- 2014년 기업 설립부터 도입
- 운영방법
- 월~목 근무, 급여감축 無
- 도입효과
- 입사 지원자 증가, 창의성에 긍정적 효과, 생산성 향상, 매출 증가
-
휴넷
- 업종
- 평생교육 전문기업
- 도입시기
- 2019년 36시간 근무제 도입
- 운영방법
- 금요일 오전 8시 출근, 오후 12시 퇴근
고객 서비스 부서는 격주 금요일 출근
- 도입효과
- 매출액 증가, 실적 개선(학습자 수 증가), 업무몰입도·업무집중도·효율성 상승